한국 위인 이야기

조선 태종 이방원 왕권 강화 정책으로 국가 기틀 마련하다.

IT 특임대 2022. 10. 10. 12:06
반응형

조선 태종 이방원 왕권 강화 정책과 업적 알아보자.

- 목차 -

 

1. 조선 태종 이방원 왕권 강화 정책을 위해 측근을 정리하다.

 

2. 조선 태종 이방원 왕권 강화를 위해 사병을 타파하다.

 

3. 조선 태종 이방원 유교를 장려하다.

 

4. 조선 태종 이방원 정치 조직을 정비하다.

 

5. 조선 태종 이방원 호패 제도를 실시하다.

 

조선 태종 이방원의 왕권 강화 정책은 조선 전기에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고 새로운 나라에 대한 백성들의 열망을 반영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고려가 멸망한 후 새로운 나라를 만든 조선은 정부 조직이 완성되지 않았고 고려를 추모하는 세력들이 있었다. 조선 태종 이방원의 왕권 강화 정책은 새로운 나라를 위한 새로운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국가 기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조선의 정치 제도를 정비한 태종의 업적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조선 태종 이방원 왕권 강화 정책을 위해 측근을 정리하다.

조선 태종 이방원이 형제들을 물리치고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부인 원경왕후와 처갓집인 민씨 일가의 공이 컸다. 이방원이 왕위에 오르자 많은 신하들이 민씨 일가를 추종하기 시작했다. 민무구를 비롯한 태종의 처남들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양상으로 변했으며, 공신으로 인정받은 그들은 조정의 주요 요직을 차지하게 되었다.

 

조선 태종 이방원은 권력이 외척들에게 집중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왕권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태종은 세자에게 양위를 한다는 구실을 들어 신하들의 충성심을 시험했는데, 민무구, 민무질 형제는 태종의 양위 발표에 반대를 하지 않고 웃음을 지었다는 이유로 귀양을 가게 된다. 그는 얼마 후 귀양지에 있는 처남들에게 사약을 내려 죽게 했다. 태종은 왕권강화를 위해 첫 발걸음으로 외척의 권력을 무력화한 것이다.

 

조선 태종 이방원 왕권 강화를 위해 사병을 타파하다.

조선 태종 이방원이 왕위에 오를 때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사병들을 동원하여 정적들을 물리쳤다. 사병은 개인 권력을 가지기 위한 좋은 수단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왕위에 오른 태종은 왕권강화를 위해서는 사병들을 소유하지 못하도록 해야 했다. 태종은 신하들이 사병을 소유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도록 했으며, 모든 사병은 국가에 귀속되도록 법을 정비하였다. 신하들의 많은 반대가 있었지만 태종의 의지가 강력했기 때문에 사병 금지 정책은 국가 기본 정책으로 발전하였다.

 

 

 

 

 

조선 태종 이방원 유교를 장려하다.

조선을 건국한 후 고려와는 다르게 나라의 근본을 유교로 선택했다. 이를 위해 조선 태종 이방원은 지방에 서당을 세우고 유교 교육을 시작했으며, 한양 안에 중등교육 기관을 설치하여 유고의 발전을 장려했다. 지금의 대학교에 해당하는 성균관을 만들어 조선시대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했다.

 

조선 태종 이방원 정치 조직을 정비하다.

조선의 정치 조직은 의정부에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이 있고 그 아래에 6조가 편성이 되어 있어 각각 분야를 나누어 나라를 관리하도록 했다. 6조에서 올라온 내용들은 의정부에서 1차로 선별하여 왕에게 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조선 태종 이방원은 6조에서 올라오는 정책들이 모두 왕에게 보고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6조의 모든 업무를 왕에게 직접 보고하도록 했다. 왕이 나라의 모든 일을 직접 챙기게 되었으며 조선의 정치 기구는 6조 직계제로 변하였다.

 

조선시대-정치-기구
조선시대 정치 기구

 

조선 태종 이방원 호패 제도를 실시하다.

조선 태종 이방원은 중앙정치 구조뿐만 아니라 백성들의 관리 체계도 변화해야 한다고 믿었다. 이는 백성들에 대해 세금을 걷거나 군대 차출을 위한 기본적인 관리 방법이었다. 지금의 주민등록증과 같은 호패법을 실시하여 집안에 살고 있는 사람 수를 파악하도록 했으며, 호패에는 이름, 나이, 신분, 생김새 등을 기록하여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에서 고을에 살고 있는 인구를 조사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제도를 실시하였다.

반응형